사용법
- 쓰리축 사용법
1) 출발전 : 에어량이 충분한지 확인한다.
2) 적차시 : - 에어량이 충분한지 확인한다. - 게이지 눈금 2kgf ~ 7kgf을 확인한다. - 과적(적재량을 초과하여 적재 시 당사 제품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적으로 인한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.)
3) 공차시 : - 쓰리축을 올리고 주행한다. - 쓰리축 하강으로 주행 시, 구동력이 상실될 수 있습니다.
4) 경사로 주차시 : 쓰리축을 하강상태로 할 것.(미끄럼방지)
5) 빗길 또는 눈길 주행시 - 가급적 쓰리축을 올리고 주행한다. - 쓰리축이 가장먼저 제동되어 급제동시 차량 뒷부분이 좌우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
6) 비포장도로 주행시 : 쓰리축을 내리고 에어량을 가급적 적게(게이지 1.5kgf 정도) 조정후 주행한다.
7) 액슬 및 키트 구리스 주입시 - 구리스 주입부에는 약3개월 간격으로 주입하십니다. - 고무 부싱은 암의 유격이 많아진 경우에 교환하여 주십시오. - 구리스 보충 및 교환주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품손상 및 내구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.
8) 효과적인 주행방법 - 적차상태로 도로주행시 게이지 눈금을 2kgf ~ 3kgf 정도 조정 후 주행하시면 타이어 마모 감소 및 제동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.
9) 게이지 눈금과 중량
공기압(BAR) | 중 량 (적재량) 특장차는 자체중량 합산고려 |
적 재 상 태 |
---|---|---|
1.5 ~ 2.0±0.5 | 8 ~ 12톤 | ※ 이 표시는 근사치임 ※ 적재 위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|
2.5 ~ 3.0±0.5 | 13 ~ 15톤 | |
3.5 ~ 4.5±0.5 | 16 ~ 20톤 | |
5.0 ~ 6.5±0.5 | 21톤 이상 |
※ 주의 ※ - 차종별로 차이가 있으니 장착 후 한달 정도 필히 계근 요망. - 쓰리축에 과압력(5kg이상)으로 셋팅후 주행시 내구성에 결함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. - 급 회전시 또는 상,하차 현장에서는 가급적 쓰리축을 상승 상태에서 주행 바랍니다.
10) 유볼트 및 각종 체결볼트 공장 출고시 적정체결 토르크에 의해 체결되어 나옵니다. 다음의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재체결 하시기 바랍니다.
① 출고후 5일 또는 수리 후.
② 출고후 30일 또는 수리 후.
③ 출고후 60일 또는 수리 후.
④ 매 6개월 마다 1회 재체결 할 것.
11) 정기점검 사항
점검항목 | 교환주기 | 비 고 |
---|---|---|
에어백 점검/교환(수시) | ◇ RIDE BAG ◇ LIFT BAG |
- 주행과다시 교환주기가 단축 될수 있음 |
액슬점검 (매월/2,000km) |
◇ 허브베어링 점검철저 | - 정기점검시 베어링 상태 점검철저 - 각 부위 구리스 주입철저 - 라이닝 간격조정 - 휠너트 체결 토르크 점검 - 유볼트 체결 토르크 점검 |
타이어점검 (매월/2,000km) |
◇ 타이어 밸런스 | - 타이어 마모점검, 밸런스점검 |
키트구조물 (매월/2,000km) |
◇ 각 부위 크렉 및 볼트 조임 점검 | - 각 부위 크렉 유무 점검 - 부싱 마모 점검 - 각 부위체결 토르크 점검 - 스프링댐퍼 감쇄력점검(대형차량) - 공압품 부위별 누기점검 |
12) 이상증상 및 긴급 점검 요령
문제발생 | 원 인 | 조 치 |
---|---|---|
푸셔액슬 상승,하강 작동불량 |
◇ 각밸브류에 이물질이 끼어 작동이 안됨 ◇ 배선 단선시 |
공통사항 ① 에어탱크내 정기적인 수분배출(드레인 코크) ② 에어드라이어 필터교환 하강불량 ① 시동을 켜고 메인 계기판 에어가 충분한지 확인 ② 스위치를 쓰리축이 내려진 상태로 둔다(ON상태) ③ 퓨즈박스 퓨즈점검(퓨즈박스내 릴레이확인) 상승불량 ① 계기판 에어가 충분한지 확인 (에어량 부족시 축이 올라가지 않음) |
에어빽 파손 | ◇ 에어빽 마모(고무부위와 플레이트판 접합부) ◇ 에어빽옆면스크레치 발생 |
- 에어빽 교환 |
편 마모발생 | ◇ 브레이크 라이닝 편마모 | - 라이닝 교환 - 좌 ∙ 우 라이닝 간격 조정 |